
주요 지수
- S&P 500: -2.36% → 5,158.20
- 다우존스 산업평균: -2.48% → 38,170.41
- 나스닥-100: -2.46% → 17,808.30
- 러셀 2000: -2.14% → 1,840.32
모든 주요 지수가 급격히 하락 마감했으며, S&P 500은 2월 고점 대비 약 16% 하락하며 베어마켓 영역에 근접했다.
시장 개요
월요일 미국 증시는 정치적, 통화적 불확실성의 폭풍 속에서 급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을 "대형 루저(major loser)"라고 칭하며 즉각적인 금리 인하를 요구하면서 그에 대한 비난 수위를 높였다. 이러한 발언은 연준의 독립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고, 중국과 EU 수입품에 대한 공격적인 새 관세로 이미 흔들린 투자자 심리를 더욱 동요시켰다.
미국 달러 지수는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 도피하면서 15개월 최저치로 하락했고, 금과 스위스 프랑으로의 자금 유입이 강세를 보였다. 주식 시장은 전반적인 매도세를 보였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는 하락 종목이 상승 종목을 약 5대 1로 압도했으며, 전체 거래량은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는 실적 발표 시즌을 앞두고 위험 회피와 불확실성을 시사한다.
섹터 하이라이트
S&P 500의 11개 섹터 모두 하락 마감했다. 기술과 경기소비재 섹터가 성장주에 대한 강한 매도세로 인해 하락을 주도했다:
- 테슬라는 저가형 모델 Y의 잠재적 지연 보도와 화요일 실적 발표를 앞두고 "코드 레드" 위기를 경고하는 중요한 분석가 노트로 인해 5.8% 하락했다.
- 엔비디아는 화웨이의 신규 AI 칩에 대한 경쟁 우려가 높아지면서 4.5% 하락했다.
경제 스냅샷
컨퍼런스 보드의 경기선행지수는 3월에 0.7% 하락하며 경제의 모멘텀이 둔화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와 동시에 미국 채권 시장은 스트레스 신호를 보냈는데, 장기 수익률은 가격 하락 속에서 상승했고 달러는 급격히 약세를 보였다. 강화된 관세 환경과 정치적 개입은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두려움을 악화시키고 있다.
전문가 논평
- 마이크 윌슨(모건 스탠리)은 초기 팬데믹 수준을 연상시키는 실적 불확실성에 대해 경고했다. S&P 500 EPS 성장 전망치는 연초부터 현재까지 11.4%에서 6.9%로 대폭 하향 조정되었다.
- 마이클 브라운(페퍼스톤)은 파월 해임이 극단적인 시장 변동성과 자본 유출을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제드 엘러브룩(아젠트 캐피털)은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지속 가능한 성장과 안정적인 인플레이션을 위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크리스 웡(OCBC)은 연준 신뢰도 약화에 대한 소문만으로도 "미국 달러에 대한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 및 정치 관련 사항
트럼프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 부과—중국 수입품에 104%, EU 상품에 20%—로 미국의 평균 관세율은 1910년 이후 최고 수준인 22%까지 상승했다. 그가 무역 협상이 "진전되고 있다"고 주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회의적이었다.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것은 트럼프가 파월을 해임할 법적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는 보도가 등장한 것으로, 연준의 정치화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안을 더욱 심화시켰다.
결론
미국 시장은 정치적 긴장, 통화 정책 우려, 무역 혼란이 불안정한 환경을 조성하면서 주간을 압박 속에서 시작했다. S&P 500이 베어마켓 영역에 근접한 가운데 테슬라, 알파벳, 인텔, 보잉 등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은 계속되는 혼란에 대비하고 있다. 연준의 신뢰도와 행정부의 관세 정책 방향은 앞으로 몇 주간 시장 안정성을 위한 중요한 변수로 남아 있다.
'Daily US Stock Mark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04월 24일 목요일 미국 주식 시장 요약 (2) | 2025.04.25 |
---|---|
2025년 04월 23일 수요일 미국 주식 시장 요약 (2) | 2025.04.24 |
2025년 04월 22일 화요일 미국 주식 시장 요약 (0) | 2025.04.23 |
2025년 04월 17일 목요일 미국 주식 시장 요약 (2) | 2025.04.18 |
2025년 04월 16일 수요일 미국 주식 시장 요약 (1) | 2025.04.17 |